WORK

WORK/✍🏻 기록

원격접속 툴 제작

0. 제작동기회사에 웹서버가 있는데여기에 배포를 하기도 하고 스케줄러를 켜기도 하는 등 팀원들이 자주 들락날락 하는 곳이다 문제는 누군가가 접속중인지 알 수 없었고사용중인 누군가가 강제 종료 당하는 일이 일수였다.그래서 강제 종료당하셔서 빡친 팀장님이나 과장님이사용할때 좀 물어보고 사용하자고 하셔서 팀원들이 '혹시 웹서버 접속하신분~ DB서버 접속하신분~' 이렇게 물어보기 시작하면서 ㅋㅋㅋㅋ좀 줄어들긴 했으나 문제는 팀장님 과장님이 안물어보고 하시네,,? 그리고 매번 물어보는것도 골때린다고 생각했다.그래서 누가 접속중인지를 알려주는 툴을 만들어야겠다 결심했다.  1. 개발환경빠른 제작을 위해 개발은 python으로 했다.db는 mariaDB를 사용했고ui는 tkinter을 사용했다.배포,업데이트 관련은 ..

WORK/✍🏻 기록

리액트 컴포넌트화

우리회사 프로젝트 웹화면이다. 원래 전자정부프레임워크으로 백과 프론트를 같이 구현했으나프론트 경력이 오래된 차장님이 새로 들어오셨고,팀장님께서 소스 모듈화를 위해 프론트를 리액트로 분리시키는 작업을 차장님에게 맡겼다.5개월이 지난 현재상황은 분리만 됐을 뿐, 구조는 기존 JSP 방식과 비슷한 양상이었다.유일한 장점은 vscode로 작업을 진행했는데, 작업내용이 바로바로 반영돼서 너무 편했다.하지만 더이상 진전이 없으면 팀장님께서 리액트 접는다고 하셨다.그래서 답답한 마음에 그냥 직접 모듈화를 해보기로 결심했다. 사실 차장님이 너무 진전이 없어서 팀장님이 다른 팀원들에게도 리액트 모듈화에 대해 좀 같이 생각해보자는 이야기가 있었다. 물론 나도 참여는 했지만 리액트는 프론트쪽이라 별로 안내키기도 했고, 리액..

WORK

그룹스터디를 시작하다

알고리즘 공부와 언제가 할지 모를 코테를 위해 팀원들에게 일주일에 하루 남아서 한시간 그룹스터디를 하자고 제안했고 다행히 모두 참여하게 됐다. 회의끝에 발표자가 숙제리뷰 => 발표자가 새로운 알고리즘개념 설명, 숙제하달, 다음 발표자 지목 이 방식으로 하기로 했다 Notion과 Github를 이용해서  공지사항같은건 Notion에다가 쓰고 숙제는 Github에 올릴 계획이다.

WORK/✍🏻 기록

Redmine 활용기

황야를 개척하다 입사초반 회사자체가 개발사업을 시작한지 얼마 안됐기도했고, 프로젝트관련 인수인계문서나 트러블슈팅문서 등 개발관련 문서가 1도 없어서 프로젝트를 익히는데에 시간이 꽤 걸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젝트도 점점 많아지고, 개발자가 하나둘 늘어나면서 우리는 redmine을 사용하기로 했다. 아무것도 없는 이런 상황이 나에겐 더 좋은 기회가 되지않을까 생각을했고, 자발적으로 내가 관리를 맡아서하기로 했다. 나는 곧장 레드마인 구조를 프로젝트와 프로젝트 아닌것으로 나눴다. 인수인계시 필요한 문서, 각종 이슈사항, 툴 같은 내용들을 '프로젝트 외' 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었고 실제 착수할 프로젝트들은 그 프로젝트 명칭에 맞춰서 새로 생성하는 식으로 구조를 잡았다 지금은 아래와 같이 잘 사용되고 ..

이재원
'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