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소켓(WebSocket) 이란?WebSocket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양방향 통신(Full-Duplex)을 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기존의 HTTP 기반 통신 방식과 달리, 한 번 연결을 맺으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방식이 특징입니다.🚀 1. 왜 웹소켓이 필요할까?기존 HTTP 방식에서는 요청(Request) → 응답(Response) 구조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해야만 서버가 응답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실시간 데이터 교환(예: 채팅, 게임, 주식 시세, IoT, 라이브 스트리밍)이 필요한 경우에는 HTTP 방식으로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기존 HTTP 방식의 문제점Polling (폴링)일정 간격마다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식 (ex: 1초마다 GET 요청)불필요..
✅ TCP 3-Way Handshake vs 4-Way Handshake 차이점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서는 연결을 설정할 때 3-Way Handshake(3방향 핸드셰이크),연결을 해제할 때 4-Way Handshake(4방향 핸드셰이크) 방식을 사용합니다.🚀 1. TCP 3-Way Handshake (연결 설정 과정)"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세 번의 패킷 교환을 수행합니다.📌 3-Way Handshake 과정1️⃣ SYN (Synchronization 요청)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결 요청을 보냄.SYN 플래그가 설정된 패킷 전송2️⃣ SYN-ACK (Synchronization + ..
🌐 TCP vs UDP 차이점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모두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OSI 4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하지만 두 프로토콜은 신뢰성(Reliability), 속도(Speed),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란?"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프로토콜"TCP는 데이터를 정확하고 순서대로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즉,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고, 순서가 보장되는 것이 중요할 때 사용됩니다.✅ TCP의 주요 특징✔ 신뢰성 보장 →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어긋나면 재전송 요청 (에러 감지 및 복구)✔..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란?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웹 브라우저에서 다른 출처(도메인) 간의 리소스 요청을 제어하는 보안 정책입니다.즉, 한 도메인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예: API, 이미지, 글꼴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할지 결정하는 정책이에요.🔥 1. CORS가 필요한 이유웹 보안 정책 중 하나인 Same-Origin Policy(동일 출처 정책) 때문에 CORS가 필요합니다.Same-Origin Policy(동일 출처 정책)란?웹 브라우저는 다른 출처(Origin)의 리소스를 기본적으로 차단한다.📌 출처(Origin)란?출처(Origin)는 프로토콜 + 도메인 + 포트로 정..
🌐 REST API의 장점과 단점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는 HTTP 기반으로 리소스를 URI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 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REST API는 웹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존재합니다.✅ REST API의 장점1️⃣ 언어 및 플랫폼 독립성 (Language & Platform Independence)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다른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 있음.예: 프론트엔드(React, Vue) + 백엔드(Spring, Node.js, Django 등)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음 → 범용..
TCP/IP 4계층 모델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이를 TCP/IP 4계층 모델로 설명하거나 OSI 7계층 모델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4계층 모델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 계층 모델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계층들은 프로토콜의 네트워킹 범위에 따라 네 개의 추상화 계층으로 구성됩니다.계층 구조TCP/IP 계층은 네 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합니다.위 그림처럼 TCP/IP 계층과 달리 OSI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세 개로 쪼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