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에서 idle vs idle in transaction 상태 차이PostgreSQL의 pg_stat_activity에서 세션의 상태(state)는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상태의미잠금(Lock 가능성)주요 원인idle현재 실행 중인 쿼리가 없고, 단순히 연결이 유지됨❌ 없음애플리케이션이 DB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만,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 경우idle in transaction트랜잭션이 시작되었지만 COMMIT 또는 ROLLBACK이 수행되지 않고 대기 중✅ 있음BEGIN; 실행 후 쿼리를 실행했지만, COMMIT; 또는 ROLLBACK;을 하지 않음1️⃣ idle 상태📌 의미현재 세션이 DB에 연결되어 있지만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 상태.SELECT, UPDATE, IN..
📌 자바에서 대표적인 다형성(Polymorphism) 메서드자바에서 다형성(Polymorphism) 이란, 하나의 메서드가 여러 가지 형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입니다.다형성은 메서드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과 메서드 오버라이딩(Method Overriding) 을 통해 구현됩니다.✅ 1. toString() 메서드 (오버라이딩)toString() 메서드는 Object 클래스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로, 모든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보통 객체 정보를 문자열로 변환할 때 오버라이딩하여 사용됩니다.📌 toString() 예제class Animal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이것은 동물 객체입니다."..
✅ 자바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자바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자바의 기본 스레드 모델은 병렬 실행(Concurrent Execution) 을 목적으로 하지만,적절한 동기화(Synchronization) 기법을 사용하면 순차 실행(Sequential Execution) 이 가능합니다.🚀 1. join()을 사용하여 순차 실행스레드의 join() 메서드를 사용하면 앞선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스레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제: join()을 이용한 순차 실행class MyThread extends Thread { private final String name; public MyThread(Strin..
🔍 힙(Heap)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고려해야 할 해결 방법힙 메모리 부족(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문제는 Java 애플리케이션이 힙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1. JVM 힙 메모리 크기 조정 (JVM 옵션 변경)📌 개념JVM에서 사용 가능한 힙 메모리 크기를 늘리면 OutOfMemoryError를 방지할 수 있음.기본적으로 JVM은 힙 메모리 크기를 제한적으로 할당하므로,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이 필요함.📝 해결 방법JVM 옵션을 사용하여 힙 크기를 조정 (-Xms 최소 힙 크기, -Xmx 최대 힙 크기 설정)java -Xms512m -Xmx4g -jar..
🔍 스레드에서 생성된 메모리 영역은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 가능할까요?✅ 답변: 스레드가 생성한 메모리 영역이 어디에 저장되느냐에 따라 접근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1. 접근 가능 (Heap 영역)객체(인스턴스) 또는 static 변수는 Heap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 가능.여러 스레드가 같은 객체를 참조하면 공유 가능.예제 (Heap 메모리에 저장된 객체를 여러 스레드에서 공유)class SharedData { int value = 0; // Heap에 저장됨 (모든 스레드 공유 가능)}public class Thread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haredData data = new Sh..
🔍 뮤텍스(Mutex)와 세마포어(Semaphore)의 차이점뮤텍스(Mutex)와 세마포어(Semaphore) 는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둘 다 공유 자원(Shared Resource)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지만, 개념과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1. 뮤텍스(Mutex)란?📌 개념Mutual Exclusion(상호 배제)의 약자로, 하나의 스레드만 공유 자원에 접근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방식.🔒 하나의 뮤텍스는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소유 가능 (Lock 기반).🔓 락을 획득한 스레드만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나면 락을 해제해야 함.📝 Java에서 뮤텍스 예제 (ReentrantLock)import java.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