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를 만들때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처리 방식이 바로 CRUD(Create,Read,Update,Delete) 이 네가지만 잘 구현해도 최소한 "저새끼 버스타네" 소리는 안들을것이다. 이 CRUD를 편안하게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가 바로 스프링부트이다 일단 프로젝트가 만들어지면 src안에서만 작업이 이뤄지고 나머지 .gradle .idea gradle 등등 거의 볼일이 없다. src를 보자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main과 test가 생성된다 간단하게 먼저 말하면 main은 실제 개발할 서비스를 구현하는 곳이고 test는 그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만약 어떤 메소드를 구현하려고하는데 그 메소드가 잘 작동되는지 메소드단위로 테스트하기위한 곳이다. test는 스프링부..
인텔리제이 유료버전(trial)에는 New Project에 Spring Initializer가 있다그래서 편하게 dependencies를 추가할수있다. type은 Gradle - Groovy 로 설정참고로 Gradle은 Gradle은 오픈소스 빌드 자동화 툴 Name이나 Group, Artifact, Package name 만 자신의 프로젝트에 맞게 수정한다음Next 해준다 Spring Boot 2.7.9 로 설정해주고아래 5개를 검색해서 추가해준다더보기- Spring WebMVC패턴+톰캣서버+RESTful 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 Spring Data JPAJPA란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이며 자바의 ORM을 위한 표준 기술로 Hibernate, Spring JPA, Eclip..
인텔리j 무료버전에서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바로생성 못함 그래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사이트가 있음 https://start.spring.io/ generate하면 알집생김 알집풀고 인텔리제이에서 알집푼 폴더안에 build.gradle을 열어준다 open as Project 를 해준다 그러면 무슨 설치들이 쭉쭉 뜨고 저 application 들어가서 실행을해주면 아래화면이 뜨면 초기셋팅 성공! EJB(Enterpise Java Beans) - 동시 접속자수가 10000명 이상 사이트 구축시 고려하는 컴퍼넌트 기술 - 속도는 느리지만 많은 이용자 수를 감당할 수 있음 - 안정적인 트랜젝션이 필요한 사이트 구축시 사용 - ZEUS, Weblogic (지금은 안씀,있긴 있지만,,,) Spring -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