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권한 관리1. 리눅스 파일 권한 이해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는 각각 사용자, 그룹, 그리고 다른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 권한을 가진다.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권한 세트로 구분된다. - 파일 소유자(User) :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 그룹(Group) : 파일이 속한 그룹의 사용자들 - 기타(Others) : 파일 소유자와 그룹에 속하지 않은 모든 사용자 권한 형식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rwxr-xr-- 위 예시에서첫 번째 문자 - 는 파일의 종류를 나타낸다. - 는 일반 파일을, d 는 디렉토리를 의미한다다음 세 문자 rwx는 소유자의 권한이다.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리눅스 무차별 대입 공격 방지무차별 대입 공격 우연히 아래 명령어로 ssh 접속 상태를 봤는데 소름systemctl status ssh 누군가가 4~5초단위로 포트번호만 바꿔서계속 접속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발견Sep 23 11:20:11 jwserver sshd[13833]: Failed password for root from 107.172.20.243 port 53516 ssh2Sep 23 11:20:11 jwserver sshd[13833]: Connection closed by authenticating user root 107.172.20.243 port 53516 [preauth] Sep 23 11:20:13 jwserver sshd[13837]: pam_unix(sshd:auth): auth..
리눅스 명령어 정리1. 파일 및 디렉토리 탐색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표시ls # 간단한 목록ls -l # 상세한 목록 (파일 권한, 크기 등)ls -a # 숨김 파일 포함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pwd cd : 디렉토리 이동cd /path/to/directory #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cd ~ # 홈 디렉토리로 이동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2. 파일 및 디렉토리 조작touch : 새로운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의 수정 시간을 갱신touch filename.txt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cp source.txt destination.txt ..
SSH를 통해 원격으로 리눅스서버 접속하는법 리눅스 서버에서 설정해야할것 1. apt-get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2. 리눅스 서버에서 SSH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 3. SSH 서비스 실행 sudo service ssh start 4. 22번포트 확인 nmap localhost localhost 22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한다 5. sshd_config 설정파일 수정 root권한으로 로그인할수있게 설정해야함 sudo vim /etc/ssh/sshd_config esc 누르고 :se nu 를 입력하면 행번호를 보여준다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밑에 아래를 삽입해준다 PermitRootLogin yes :wq!로 저장하..
1. X 윈도우의 개념 [1] x윈도우의 정의 x 윈도우란 플랫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GUI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를 기반으로 X프로토콜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윈도우를 그려주고 마우스 및 키보드 등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 유닉스 및 리눅스의 윈도우 시스템이다. [2] x윈도우의 특징 x프로토콜이라 불리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사용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연결만 되면 x윈도우 이용할수있음 x서버는 x클라이언트의 요청에대한 응답이나 이벤트를 직접 x클라이언트에게 보낼수있음 x클라이언트는 원격지의 x서버의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서 설치없이 실행할 수 있다 x윈도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독립적이다. KDE, GNOME, XFCE 등의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