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 Not Only SQL)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할지는 데이터 구조, 확장성, 성능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 개념:데이터를 테이블(표, Table) 형태로 저장하며, 행(Row)과 열(Column) 로 구성됨.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정규화(Normalization) 를 통해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무결성을 유지.📌 특징:✔ 스키마(테이블 구조)..
정규화정처기할때 "도부이결다조" 로만 공부했던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고자합니다..정규화(Normalization)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정규화의 목적중복 최소화: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번 저장되는 것을 방지.데이터 무결성 유지: 잘못된 데이터 입력을 방지.수정 이상 방지: 데이터 수정 시, 다른 관련 데이터도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한다.비정규화 상태 (1NF 미만)고객 주문 데이터베이스를 예로 들겠습니다. 하나의 테이블에 고객 정보와 주문 내용을 모두 저장한다고 가정해 봅시다.고객ID고객명주문1주문2주문3001홍길동사과배바나나002김철수딸기 ..
문제 INSERT INTO jeswrt_itl_performcurve(REG_DT, RATE, BLOW, PAST, STATUS, BLOW_KEY) VALUES ( current_timestamp, 10, 20, 30, 'N',40);분명 동일한 쿼리, 동일한데이터, 컬럼 확인 다 동일하게하고 했지만계속 현장DB에서만 에러가 났다개발서버는 잘들어감 에러 로그를 보니 특이한점이 있었다.idx 값은 이미 108이 넘었는데새로들어갈 값은 109가 들어가야하는데 에러 로그를 보면 idx=15 키가 이미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구글링 해보니테이블별 시퀀스 번호가 따로 존재한다고 함SELECT last_value FROM jeswrt_itl_performcurve_idx_seq;개발서버는 ..
PostgreSQL | 쿼리 성능 분석하기PostgreSQL에서 EXPLAIN과 EXPLAIN ANALYZE는 쿼리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두 명령어는 쿼리가 실행될 때 사용되는 실행 계획과 그에 따른 자원 소비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를 통해 쿼리의 성능 병목을 파악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 EXPLAIN과 EXPLAIN ANALYZE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예시를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보겠다.EXPLAINEXPLAIN 명령어는 주어진 쿼리가 어떤 실행 계획을 사용할지 설명한다. 쿼리를 실제로 실행하지 않고 실행 계획을 제공하므로,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를 어떻게 검색하고 처리할지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다음은 EXPLAIN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 예이다.EXPLAIN ..
추출한 CSV파일 채우기 드래그 한번에 하기DB에서 CSV 파일로 데이터를 추출하면 보통 데이터가 수십만개 된다.UPDATE 문이 필요해서 엑셀작업을 통해 생성하려고 했으나수십만개의 데이터때문에 채우기드래그를 하루종일 해야하는 상황이 생길때가 있다.한번에 채우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수식작성 2.영역잡기수식포함 해서 채우기할 부분을 다 영역잡아준다 3. 빈칸채우기편집탭 - 채우기 - 빈칸채우기 4.결과맨 아래셀까지 수식으로 채우기 드래그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