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듈 생성 VSCode 터미널에서 nest g mo 모듈명 모듈명은 일반적으로 복수형으로 짓는다 nest g mo cats 자동으로 cats 폴더가 생성되고 그안에 모듈이 생성된다 그리고 자동으로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import { CatsModule } from './cats/cats.module'; @Module({ imports: [CatsModule],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
1. package.json @nestjs로 시작하는 애들은 nestjs 안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라이브러리들 reflect-metadata 는 데코레이터에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rxjs 는 비동기 및 이벤트기반 프로그래밍을 작성하기위한 라이브러리 2.controller app.controller import { Controller, Get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Controller('cats')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ppService: AppService) {} @Get('hello') getHello(): string..
1. 시작 1. 프로젝트를 생성할 디텍터리를 생성 2.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 입력 sudo npm i -g @nestjs/cli 설치가 완료되면 nest라는 명령어를 사용할수있음! 3. 프로젝트 생성 nest new 프로젝트명 npm사용할지 yarn 사용할지 물어보는데 npm 사용하면됨 설치가 완료되면 '프로젝트명'이름으로 여러 코어모듈로 채워진 디렉토리가 생성됨! 4. 서버 켜는법 package.json에 script 쪽에 보면 start:dev 가 정의되어있음 보통 스크립트실행시 npm run 스크립트명령alias 이렇게 사용 npm run start:dev 2.dependencies nestjs 는 nestjs에 사용하는 패키지들 reflect-metadata : 데코레이터패턴(@어노테이션)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