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버네이트하이버네이트는 자바의 ORM 프레임워크로, JPA가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는 JPA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 Spring Data JPASpring Data JPA는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프링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Spring Data JPA는 CRUD 처리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하이버네이트의 엔티티 매니저(EntityManager)를 직접 다루지 않고 리포지토리를 정의해 사용함으로써 스프링이 적합한 쿼리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장합니다. 이를 통해 하이버네이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JPA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채택된 인터페이스의 모음입니다. ORM이 큰 개념이라면 JPA는 더 구체화된 스펙을 포함합니다. 즉, JPA 또한 실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메커니즘을 정리한 표준 명세로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JPA의 역할이 ORM이라고 보면 무난합니다.JPA의 메커니즘을 보면 내부적으로 JDBC를 사용합니다. 개발자가 직접 JDBC를 구현하면 SQL에 의존하게 되는 문제 등이 있어 개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데, JPA는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해서 개발자 대신 적절한 SQ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해서 객체를 자동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JPA 기반의 구현체는 대표적으로 세 가지가 있습니다..
ORMORM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줄임말로 객체 관계 매핑을 의미합니다.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에서 의미하는 객체와 RDB(Relational Database)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방법니다. 지금 이야기하는 객체지향 언어에서의 객체는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RDB 테이블과 어쩔 수 없는 불일치가 존재합니다. ORM은 이 둘의 불일치와 제약사항을 해결하는 역할입니다. 간략하게 애플리케이션의 클래스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매핑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ORM을 이용하면 쿼리문 작성이 아닌 코드(메서드)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ORM의 장점ORM을 사용하면서 데이터베이스..
POST API 만들기POST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소에 리소스를 저장할때 사용되는 PAI입니다. GET API에서는 URL의 경로나 파라미터에 변수를 넣어 요청을 보냈지만 POST API 에서는 저장하고자 하는 리소스나 값을 HTTP 바디(body)에 담아 서버에 전달합니다. 그래서 URI가 GET API에 비해 간단합니다. POST API를 만들기 위해 우선 아래 예제와 같이 PostController라는 이름의 컨트롤러 클래스를 생성하고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공통 URL을 설정합니다.package com.springboot.api.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
API 작성법클래스 단위에 붙이는 어노테이션@RestController@RequestMapping("/api?v1/get-api")public class GetController {} 클래스 수준에서 @RequestMapping을 설정하면 내부에 선언한 메서드의 URL 리소스 앞에 @RequestMapping의 값이 공통 값으로 추가됩니다. 메소드 단위에 붙이는 어노테이션메소드에는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별다른 설정 없이 선언하면 HTTP의 모든 요청을 받습니다. 그러나 GET형식과 같이 특정 요청만 받기 위해서는 어노테이션에 별도 설정이 필요합니다. 아래 예제와 같이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의 method 요소의 값을 RequestMethod.GET으로 설정하면 요청 ..
기본 테스트 어노테이션Junit5의 기본 어노테이션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est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해당 메서드를 테스트 메서드로 인식합니다.JUnit5 기준으로 접근제한자가 Default 여도 인식합니다. JUnit4 까지는 public이어야 했었습니다. @Test void create1() { Study study = new Study(); assertNotNull(study); System.out.println("create1()"); } @Test void create2() { System.out.println("create2()"); }@BeforeAll이 어노테이션을 붙인 메서드는 테스트 클래스를 초기화할 ..